조선 초 명 선덕제 후궁 공신부인 한씨가 조선에 끼친 영향
한 희 숙
국문요약
본 논문은 조선 초기 명나라에 공녀로 뽑혀가 황제 선덕제의 후궁이 되었던 공신부인(恭愼夫人) 한씨가 공녀로 선발된 이유와 가세의 성장, 명황실 내에서의 위상, 그리고 그녀가 조선왕실에 끼친 긍정적, 부정적 영향력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한씨는 성종의 외할아버지인 한확의 여동생으로, 성종의 어머니인 인수대비의 고모이다. 한씨의 이름은 계란으로 태종 10년(1410)에 한영정과 의성김씨 사이의 3남 2녀 중 둘째 딸로 태어났다. 한씨는 공녀 출신이었던 언니 여비(麗妃)의 절개를 높이 평가한다는 점과 얼굴이 아름답다는 이유로 세종 9년(1427) 5월에 공녀로 뽑혔으나 병이 나 이듬해에 명나라로 갔다. 그녀는 7년 동안 선덕제의 후궁으로 산 기간을 합쳐 57년 동안 명황실의 여성으로 살았다.
그 사이 토목의 변(土木之變)으로 어려움에 처했던 어린 성화제를 돌보아준 ‘아보의 공’이 있어 성화제는 황제 즉위 후 한씨에게 지극한 총애와 효도를 바쳤다. 한씨는 명황실 내의 사정에 밝아 ‘모사(姆師)’‘여사(女師)’ ‘노노(老老)’ 등으로 불렸다. 또한 한씨는 조선의 왕인 성종의 외척이었던 만큼 명황실에서도 무시할 수 없는 존재였다. 성종 14년 한씨가죽자 성화제는 그녀를 ‘공신부인’으로 봉하였다.
한씨는 친정 가문의 성장과 조선왕실 내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많은 영향을 끼쳤다.
첫째, 오빠 한확이 세종 및 수양대군(후의 세조)과 사돈을 맺는데 큰 영향을 미쳤다. 한씨는 청주한씨 한확 가문이 왕실의 외척이 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둘째, 단종을 몰아내고 왕위에 오른 세조가 명의 책봉을 받는 것과 조카사위인 의경세자의 책봉에 공을 세웠다.
셋째, 성종의 친부모인 의경세자와 조카 수빈 한씨를 왕과 대비로 추숭하는 데 큰 영향을 끼쳤다.
넷째, 조선이 명에서 금지한 궁각(弓角)무역을 허락받는데 도움을 주었다.
다섯째, 명황제에게 성종의 부인 폐비 윤씨의 폐비 사실을 알리고, 또 계비 정현왕후 윤씨의 책봉을 받아내는데 도움을 주었다.
여섯째, 연산군이세자로 책봉되는 데에도 적극 도움을 주었다.
그러나 이런 도움의 대가로 한씨는 조선왕실에 많은 공물을 요구하였다.
한씨에게 바치는 별진헌은 조선인 화자 출신 명사(明使) 정동이 황제와 한씨를 등에 업고 한씨의 손발 역할을 하며 성종 8년 궁각무역문제에 개입하면서 더욱 부담이 커졌다. 성종 9년에 바치기 시작한 별진헌은 처음에는 한씨의 족친이 한씨에게 사사로이 바치는 것이지만 그 종류와 수량이 점점 늘어나고 점차 상공(常貢)이 되어 조정의 큰 골칫거리로 등장했다. 성종 14년에 한씨가 죽은 직후까지 바쳐졌던 별진헌은 조선에 큰 악영향을 주었다.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 | 공신부인 한씨가 조선에 끼친 영향 | 관리자 | 2023.10.09 | 20 |
28 | [韓永矴 丈人 金英烈] | 관리자 | 2023.10.09 | 21 |
27 | 參議公 한전 유사1 | 관리자 | 2023.10.09 | 21 |
26 | [조선왕조실록에서 11세 의성김씨조모님] | 관리자 | 2023.10.09 | 19 |
25 | 燕山朝에 선조님들의 피해 | 관리자 | 2023.10.08 | 18 |
24 | 한치형이 중국에 다녀와 | 관리자 | 2023.10.08 | 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