明에 가신 두분의 할머니
明 宣宗皇帝 恭愼夫人(명 선종황제 공신부인)
[賜祭文 (사제문)] [墓表 (묘표)] [ 墓誌銘 (묘지명)]
墓表(묘표 원문)
명 선종황제 공신부인 묘표(역문)
부인의 성은 한씨요,
휘는 계란(桂蘭)인데 대대로 조선국 재상의 집안이다.
부친의 휘는 영정(永정)이요,
어머님은 김씨인데, 영락(명나라 성조의 연호)
경인년(태종 10년 단기 3743, 서기 1410) 4월 9일에 나셨다.
선덕(명나라 선종의 연호)정미년(세종9년 단기 3760, 서기 1427)에국왕께서 내정에 뽑아 57년이 되었는데 4조에 걸쳐 섬겨서 시종 공경하고 삼가기를 하루와 같이 했다.
갑자기 병이 들자 황제가 좌우의 사람을 보내고
내의에게 명하여 치료하게 하였으나 효험이 없이 죽었으니 이 때가 성화(명나라 헌종의 연호) 계묘년(성종 14년 단기 3816, 서기 1483) 5월 18일이다.
황제가 듣고 슬퍼하며 애석해하기를 여러번이고 태감 왕거를 보내 유제하고 백금 백만과 채단(綵段; 비단) 4표리를 하사하고 시호를 공신으로 하여 지나간 행실을 밝게 드러내고,또 내관감 태감 손진에게 명하여 장지를 맏게하고, 사설감 태감 왕거, 내관감 태감 우적, 곡청에게 상치르는 일을 총관리하게 하였으니 황태후, 중궁, 안희궁, 동궁이 모두 부의가 있었다.
장사는 이해 6월21일에 치뤘는데 묘는 도성 서쪽 향산 언덕에 있다.
왕거등이 조정의 사랑과 은혜가 크므로 글이 없을 수 없다 하여 묘석에 기록하여
영구히 전하고자 행상을 갖추어 만안에게 글을 부탁하니 부인께서는 성품이 유순하고 착하여 말을 함부로 하지 아니하고 행동이 떳떳하며
내의에 하나하나를 전부 알고 기억하니 모든 집사가 함께 모사(여자 스승)로 높이 받들었다.
모든 행사에 나가 질의를 받으면 거의 틀림이 없었고 결루(結縷; 실로 맺는 일)를 만드는 일에는 반드시 지시를 구하였다.
혹 여러 조정의 내령을 잊음이 있어 밝히기를 청하는 자가 있으면 바로 고하기를 "이는 선묘의 영이고 또 이는 용묘의 령이다" 라고 하니
빈첩 이하의 모두가 이르기를 노로(老老)라고 하고 이름을 감히 부르지 않았다. 여러 조정에서 하사한 것은 이루 말 할 수도 없고 현재의 헌종에 이르러 하사한 것은 전에 것에 비하여 더욱 후하였다.
부인께서 받으면 더욱 겸손하고 삼사하며 두려워하여 감당치 못하는 것처럼 하였으니 살아서는 황실의 녹을 누리시고, 죽어서는 거듭 은혜를 입음이 마땅하다.
제문에 깨우쳐 쓰기를
온화고 유순하며 삼가고 공경하며 아름답고 착함이 칭찬 듣기에 족하다라고 하였고 고봉사(誥峰詞)에는 공경하고 부지런하며 삼가고 세밀함이 첨부터 끝까지 변함이 없었다는 글귀의 표창이 있으니 어찌 지나친 칭찬이겠는가?
부인은 어질도다.
옛일을 상고하건데 선왕의 덕과 교화의 성함이 안으로는 규문으로부터 사해, 만국에 이르니 비록 부인이나 여자라도 우리 조종의 교화의 융성함을 입지 아니함이 업어 지난일과 더불어 나란히 하니 비유하건데, 봄 바람의 화한 기운과 같아서 가는 곳마다 빛이 난다.
부인은 조선에서부터 오래 궁중에 있으면서 어려서부터 장성 할 때까지 배우고 익힘이 많아 아름다운 행실과 능함으로 같은 무리에게서 존중 받고 조정에 알려져 살아서와 같이 죽어서도 넓은 은혜와 큰 덕을 받음이 어찌 우연한 일이겠는가?
묘표에 기록함이 이에 미치니 우리 조정의 교화가 널리 미친 것을 여기서도 볼 수 있다.
이로써 묘표에 표한다.
주; 국왕의 이름을 기록해야 하나 어휘이므로 기록치 않고 표시함.
이부상서 만안 찬
明 宣宗皇帝 恭愼夫人(명 선종황제 공신부인)
[賜祭文 (사제문)] [墓表 (묘표)] [ 墓誌銘 (묘지명)]
명나라 선종황제의 배위이신 공신부인은
명나라 성조려비의 동생이며, 양절공 確(확)의 여동생이다.
賜祭文 原文(사제문 원문)
祭文曰皇帝遣司設監太監王거賜祭于恭愼夫人韓氏曰惟爾溫柔敬愼令善足稱給事宮위久著勞예壽考惟寧宜享祺福一疾而逝聞訃悼嗟玆特贈爲恭愼夫人遣官諭祭仍勅有司爲營葬事嗚呼牲而賢淑沒荷榮名人生如此可無憾矣爾其享之
사제문 역문(이 글은 부인이 별세했을 때 명나라 헌종황제가 내린 제문이다)
제문에 왈
황제는 사설감 태감 왕거를 보내 공신부인 한씨에게 사제한다.
그대는 온유하고 경신하여 아름답고 착함이
모든 사람들이 칭찬하기에 족하며
궁중의 일을 맡아 오랫동안 공로가 드러났고
수복이 강녕하여 마땅히 큰 복을 누릴 것인데
병으로 세상을 떠났으니 부음을 듣고 슬퍼하고 탄식한다.
이에 특별히 공신부인을 추증하고
관원을 보내 제사를 깨우치고 유사에게 명하여 장사 지내게 한다.
아아!!.
살아서는 어질고 착하였으며
죽어서는 영화로운 이름을 받았다.
인생이 이와 같으면 유감이 없을 것이니 그대는 흠향할 지어다.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35 | 家門實記---明에가신 할머님들2 | 관리자 | 2023.10.09 | 21 |
» | 明에 가신 두분의 할머니 | 관리자 | 2023.10.09 | 23 |
33 | [家門實記---명에 가신 12世祖母님 ] | 관리자 | 2023.10.09 | 26 |
32 | 한전 묘지 | 관리자 | 2023.10.09 | 26 |
31 | [王朝實錄 한전--1] | 관리자 | 2023.10.09 | 26 |
30 | [王朝實錄 한전] | 관리자 | 2023.10.09 | 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