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磌은 특히 왜구의 동향에 관심을 갖고 이에 대처 하였다. 그 해 閏7월 그는 병조에 통첩을 보내 다음과 같이 보고 하였다.
이달 초8일에 倭船3척이 母尊巖으로부터 돛을 달고 바로 安釜島를 향하였으므로 이미 諸鎭에 공문을 보내어 업중히 경계 하여 變에 대응 하도록 하였습니다. 이어 8월에는 임금으로부터 왜구의 침탈에 대비하여 만반의 대비를 하라는 유시를 받았다. 특히 남해 지역의 방어에 힘쓰라는 당부를 받았다. 이듬해 2월에도 왜구의 잦은 노략질과 관련 하여 왜적의 방비에 만전을 기하라는 유시를 받았다.(세종실록 105권, 세종 26년 윤7월 18일 을미 2번째기사) 한전(韓磌)은 또한 도내의 폐단을 제거하는 데에도 관심을 기울였다. 세종26년 11월 監牧官이라는 직책을 혁파할 것을 조정에 요청 하였다. 監牧官이란 직책은 여러 섬에서 기르는 말들의 새끼치고 번식 하는 것을 살피는 일에 불과 할뿐인데, 수령과 萬戶들이 다 監牧을 겸해서 그 일을 맡아 보고 있 습니다. 감목관은 목장을 순시 하는 것이 1년에 두세차례에 불과 할뿐인데, 이로 인하여 지나가는 고을 마다 창고의 곡식이 소비 되어 그 페가 적지 아니 합니 다. 더구나 司僕寺에서는 매년 봄 가을로 여러 섬에 있는 말들을 점검 하고, 監司도 또한 감목을 겸직 하고 있는 수령과 만호의 잘하고 못하는 성적을 살피고 있으므로, 감목관이란 벼슬은 없어도 좋으니, 청하옵건데, 혁파 해버리고, 그 여러 섬의 牧養하는 상황을 點馬別監으로 하여금 검찰을 兼行하여 위에 아뢰게 하 고, 감사에게 이첩 하여 黜陟의 자료로 삼게 하소서,(왕조실록 세종26년 11월24일 기사)
세종27년 4월 전라도내에서 양식의 부족으로 백성을 救恤하는 일이 시급 하자 全羅監司 韓磌은 도내 인민이 먹을 양식 7만석을 청 하여 정부의 재가를 받았 다.(왕조실록 세종27년 4월4일 기사) 외직을 끝낸 한전은 7월에 호조참의로 전근 되었다. 그가 죽자 임금은 棺槨과 米豆10석을 賻儀로 내려 주었다.(세종실록 115권, 세종 29년 2월 15일 정미 1번째 기사)
◾叅議公派 王父할아버지의 품성과 철학 그리고 사상 선조 할아버지께서 忠을 바탕으로 한 仁義禮智信常順 등 덕목(德目)이 바로 할아버지의 진심으로 참 마음을 다하는 중심이 되어야 심성론을 보여주므로. 학문에 있어서 심(心)·성(性)·정(情)을 중심으로 인간 존재의 양상을 다룬 유학이론 바탕으로. 7형제 아드님들의 諱名을 忠仁, 忠義, 忠禮, 忠智, 忠信, 忠常, 忠順 이라 하였다. 先諱
仁義禮智信常順 字詩 仁孝滿堂瞻世德 인효(仁孝)가 만당(滿堂)에 가득하고 세덕(世德)과
義孫繼世頌家風 의손(義孫)이 대(代) ㆍ대(代) ㆍ송(頌)의 가풍(家風)을 칭송하니
禮樂千年箕子國 예악(禮樂)은 천 년 동안에 기자(箕子)가 국지(國智)를 갖추고.
智明雲仍叅議家 명운(明雲)은 이어 감의(叅議)를 참가하여 집안에서 믿어 주고 信念爲先家國繁 집안은 번거로운 것을 선세(先世)로 삼았고,
常薦芳苾繼先訓 항상 없애고 아름다운 기록은 선대(先代)의 가르침을 이어.
順成百世載淸風 백세(百世)가 되도록 순조로운 바람을 이루리라.
자아의 내면적 성취를 목표로 하는 위기지학(爲己之學)에 중심이 맞추어 가문과 자기 자신을 위해서 행하는 학문이고, 자기의 심성을 위하는 학문 으로 할아버 지의 품성(稟性)으로 사람이 마땅히 행해야할 덕목으로서 유교의 핵심적 가르침을 作名으로부터 우주와태양과 자연 그리고 그것을 이해하기 위해 음양의 진리 를 터득하여 만물을 다스리는 인간 관계를 밑바탕에 두어 본성을 실현함으로서 後系世孫에 참의공파 가문의 별이 되는 북두칠성 음양의진리 (우주)宇宙라는 집 을 이해하고 다스려야 인간이 된다. 라고 하였다.
왕실도서관 장서각 디지털 아카이브 1913년名人號譜(성호보휘) 霤岸韓磌有文集과 1925년朝鮮人物號譜全貳冊 霤岸有文集(문집이 있다고 기록 되어 있으나 현재는 찾지를 못하고 있음) 그런데 참의공 선조 할아버지는 천수 를 누리지 못하시고 39세를 일기로 너무 일찍이 졸하니 참으로 애석한 일이다. 그러나 할아버지의 7 형제 아드님들 께서 훌륭하게 관직에 등용하게 하였다. 이에 할아버지의 형님이신 좌상 (左相) 한확(韓確)의 힘이 컸다고 전하여진다.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41 | 16세 韓鯤(한곤)...2 | 관리자 | 2025.03.18 | 43 |
40 | 한충인 孫 16세 韓鯤(한곤) | 관리자 | 2025.03.18 | 47 |
39 | 한훈(韓訓) | 관리자 | 2025.03.18 | 38 |
38 | 경기도 고양은 | 관리자 | 2025.03.18 | 37 |
37 | 先系의 고향 내유리 | 관리자 | 2025.03.18 | 41 |
» | 세종실록 한전 | 관리자 | 2025.03.18 | 4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