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장한가(長恨歌)〉에, 밤비 속에 들리는 애끊는 말방울 소리 / 夜雨聞鈴腸斷聲
라는 구절이 있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처마의 낙숫물 소리를 영(鈴)이라고 하였으니, 이는 곧 속설〔諺言〕에서 나온 것이다.
명황(明皇 당 현종)이 촉(蜀)에 들어갈 때, 사곡(斜谷)에 이르러 밤비 속에 말방울소리를 듣고 〈우림령곡(雨淋鈴曲)〉을 지었다. 대개 중화인들은 말이나 당나귀의 목 아래에 방울을 다는데 길을 가면 소리가 난다. 한악(韓渥)의 시 〈조발남전(早發藍田)〉에 이르기를,
잔도를 돌 때 역사의 말방울소리 들리네 / 棧轉時聞驛使鈴
하였고, 또 두순학(杜荀鶴)의 시〈임강역(臨江驛)〉제6구에 이르기를,
역로의 말방울소리 밤중에 산을 지나네 / 驛路鈴聲夜過山
하였으니, 이를 보면 알 수 있다.
지난날 명나라 군사들이 우리나라에 왔을 때 장관(將官)들의 행차에 대부분 나귀에 행장을 실었다. 그런데 방울을 나귀의 목 아래에 달아서 길을 가면 수많은 방울들이 모두 울렸으니, 이를 보면 더욱 징험할 수 있겠다.
[주D-001]사곡(斜谷) : 중국 섬서성(陝西省) 종남산(終南山)의 골짜기 이름으로 남쪽 입구가 ‘포(褒)’라 하고 북쪽 입구가 ‘사(斜)’이기 때문에 ‘포사곡(褒斜谷)이라고도 한다.
[주D-002]우림령곡(雨淋鈴曲) : 당 현종 때의 교방대곡명(?坊大曲名)으로 나중에 사조(詞調)로 사용하였다. 《명황잡록(明皇雜錄)》에 “황제가 서촉에 행행(行幸)하여 맨 처음 사곡(斜穀)에 들어갔는데 장마가 열흘 동안 계속되었다. 잔도(棧道) 중간에 방울소리가 들리니 황제가 마침 귀비를 상념하던 터라 그 소리를 취하여 《우림령곡》을 만들어 한을 나타냈다.〔帝幸蜀, 初入斜穀, 霖雨彌旬. 棧道中聞鈴聲, 帝方悼念貴妃, 采其聲爲 《雨淋鈴曲》 以寄恨.〕” 하였다.
[주D-003]한악(韓渥) : 844~923. 만당(?唐) 시인으로, 자는 치요(致堯)이며 어릴 때의 자는 동랑(冬?)이고,자호는 옥산초인(玉山樵人)이다. 경조(京兆)의 만년(萬年 지금의 섬서성 서안) 사람이다.
[주D-004]두순학(杜荀鶴) : 846~904. 자는 언지(彦之)이다. 당나라의 시인으로 일설에 의하면 두목(杜牧)의 첩에게서 태어난 자식이라고 한다. 그는 술과 산수를 좋아하였고 거문고에도 능하였으며, 구화산(九華山)에 살아 구화산인이라고 자칭하였다.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ㆍ조선대학교 고전연구원 ┃ 김재희 이덕현 (공역)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31 | 상서 박유는 | 관리자 | 2023.10.08 | 42 |
30 | 우화의 강 - 마종기 | 관리자 | 2023.10.08 | 37 |
» | 장한가(長恨歌)〉에, 밤비 속에 들리는 | 관리자 | 2023.10.08 | 39 |
28 | 화귀거래사-----이인노 | 관리자 | 2023.10.07 | 37 |
27 | 가끔씩 그대 마음 흔들릴 때는 | 관리자 | 2023.10.07 | 35 |
26 | 白花道場發願文 | 관리자 | 2023.10.07 | 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