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오사화와 소릉복위문제
무오사화와 소릉복위문제가 무슨 관련이 있을까 싶겠지만, 소릉복위문제는 무오사화가 일어난 중요한 요인 중 하나였다.
조선시대에는 4번의 큰 사화가 있었다. 그 중에 처음이 무오사화이다. 훈구파가 사림파를 향하여 칼을 들이대고 그들을 숙청하기 시작하였는데, 연산군 대에 이르러 훈구파와 사림파의 대립이 표면화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김종직(사림파)과 유자광(훈구파)은 일찍이 개인감정이 있었고, 김종직의 제자 김일손이 성종 때 춘추관(春秋館)의 사관(史官)으로 있으면서 훈구파 이극돈의 비행과 세조의 찬탈을 사초에 기록한 일로 김일손과 이극돈 사이에도 반목이 생기게 되었다.
1498년 연산군 4년에 《성종실록》을 편찬하자, 실록청(實錄廳) 당상관(堂上官)이 된 이극돈은, 김일손이 사초에 삽입한 김종직의 조의제문(弔義帝文)이 세조가 단종으로부터 왕위를 빼앗은 일을 비방한 것이라 하고, 이를 문제삼아 연산군에게 고하였다. 이에 연산군은 김일손 등을 심문하고 이와 같은 죄악은 김종직이 선동한 것이라 하여, 이미 죽은 김종직을 부관참시하였다.
이로 인해 많은 사림들이 피해를 봤고, 연산에게 고했던 이극돈도 수사관으로서 문제의 사초를 보고하지 않은 죄로 파면되었으니 결국 무오사화를 통해 이득을 본 자는 유자광 뿐이었다. 그리고, 연산군 스스로도 눈에 거슬리는 사림들을 숙청하였으니, 자신의 행보에 더욱 자유스러웠고, 방탕할 수 있었다.
이처럼 무오사화의 가장 직접적인 원인이 된 것은 김종직의 <<조의제문>>에 있는 내용 때문이었다. 조의제문에는 세조의 왕위찬탈에 대한 내용이 있었고, 김일손도 이미 위에서 우리가 본 것처럼 소릉을 다시 추복시켜야 한다고 이미 연산 1년 때에 왕에게 건의한 적이 있었다. 이 문제는 깊이 들어가 보면 결국 소릉을 폐위시켜 버린 세조의 결정이 올바른 결정이 아니라는 것을 뜻한다. 김일손은 신하들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세조가 그것을 따랐다고 말하고 있지만, 결론적으로 보면 최종 결정자인 세조의 허락이 없었다면 있지 못했을 일이었고, 이는 고쳐져야 한다는 것이 김일손의 생각이었다. 하지만, 만약 소릉을 복원시킨다면 소릉을 폐위시켰던 원인, 즉, 단종복위계획도 합당성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말을 만들어 가면 결국 세조의 왕위찬탈은 잘못된 일이라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의미를 너무 확장시킨다는 느낌이 들긴 하지만, 충분히 다른 사람들을 이해시킬 만한 합리성은 가지고 있는 논리였다.
이에 연산군은 직접 김일손을 국문한다.
(연산이) 전번에 상소하여 소릉을 복구하자고 청한 것은 무엇 때문이냐? 하니
일손을 아뢰기를,
신이 성종조에 출신하였으니, 소릉에 무슨 정이 있으리까. 다만 《국조보감》을 보오니, 조종(祖宗)께서 왕씨(王氏)를 끊지 아니하고,
또 숭의전을 지어 그 제사를 받들게 하였으며, 정몽주의 자손까지 또한 그 수령을 보전하게 하였으니, 이는 모두가 조정의 미덕으로서 당연히 만세에 전해야 할 것입니다.
임금의 덕은 인정보다 더한 것이 없으므로 소릉을 복구하기를 청한 것은, 군상으로 하여금 어진 정사를 행하시게 하려는 것입니다. 하였다.
(연산이 이르기를) ... 소릉을 복구하기를 청하고, 난신(亂臣)들을 절개로 죽었다고
쓴 것은 네가 반드시 반심(反心)을 내포한 것이다.
세조께서 중흥하신 그 공덕은 천지보다 더하여 자손들이 서로 계승해서 지금까지 왔는데, 네가 이미 반심을 품었으면서 어찌 우리 조정에 출사했느냐? 하였다.
필상 등이 어서를 받들고 국문하니, 일손은 공초하기를,
“ ... 소릉의 복구를 청한 것과 난신 등을 사절(死節)로 쓴 것은, 황보인․김종서․정본등이 섬기는 바에 두 마음을 갖지 않았으니, 제왕이 마땅히 추앙하고 권장할 일이기 때문에 정본을 들어 전조(前朝)의 정몽주에 비하였고 또 황보인․김종서를 쓰면서 절개로 죽었다 한 것입니다... ”
* 이로 인해 김종직은 부관참시, 김일손, 권오복, 권경유는 능지처참을 당했고, 이목, 허반은 참형을 당했다. 그리고 수십여명에 이르는 사림이 종이 되거나 유배, 태형을 당하였다.
연산군은 백관들로 하여금 김일손이 능지처참 당하는 것을 보도록 하였다.
대대적인 숙청으로 무오사화가 마무리가 됐지만, 여기에서 끝난 것은 아니었다.
연산군은 6년이 지난 다음에 다시금 나머지 관련자들에게 형벌을 가하였다.
갑자년인데 바로 갑자사화가 일어난 때이다. 갑자사화가 발생하자 연산군은
무오 때의 사화를 생각하여 그 나머지 자들도 또한 처벌하도록 하였다.
* 김일손과 더불어 소릉 복위를 같이 간한 사람들을 써서 아뢰기를,
이주와 한훈입니다. 하니, 전교하기를,
이 사람들의 아비가 아직 살아 있느냐. 하였다. 첨계(僉啓)하기를,
일손의 아비와 이주의 아비는 이미 죽고, 홀로 한훈의 아비 한충인만이 일찍이 장형을 받고 외방에 축출되어 있습니다. 하니, 전교하기를,
세조께서는 가문을 변화시켜 임금이 되신 분인데, 이와 같은 말을 오히려 차마 하였으니, 어찌 이보다 더한 난신적자(亂臣賊子)가 있겠는가. 김일손과 이주의 아비는 모두 부관 참시하고, 한훈의 아비 충인은 잡아다가 교형에 처하고, 일손의 첩자(妾子) 김청이(金淸伊)․김숙이(金淑伊)는 사람을 보내어 목을 베어 오고, 이주의 아들과 딸은 모두 정역(定易)하도록 하라. 하였다.
소릉복원문제는 민감한 사항이긴 했지만, 그랬다고 목숨을 잃을 만큼 중대한 사건도 아니었다. 성종 때에도 이미 소릉복원문제가 남효온에 의해 제기되었지만, 유배당했을 뿐이다. 결국 이 문제가 커진 근본적인 이유는 훈구파와 사림파간의 세력대결 때문이었다. 잘나가던 훈구파로서는 새롭게 치고 들어오는 사림파들을 경계하면서 그들의 세력을 잠재울 필요성이 있었다. 그 도구로 소릉복원 문제가 사용되었을 뿐이다. 연산군의 실정도 하나의 이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왕들이었다 해도 신하들의 간교함에 결국 사림들을 숙청하긴 했겠지만, 연산군 만큼 잔인하게 처리하지는 못했을 것이다.
그리고, 연산군이 그렇게 잔인하게 사림들을 처벌한 것을 단순히 선왕인 세조를 추앙하기 때문 만은 아니었다. 오히려 연산군은 이것을 기회로 당시에 자신을 사사건건 괴롭히는 젊은 관리들을 숙청함으로써 자신의 행보를 더 넓게 하려 했을 것이다.
폭정은 아무나 하는 것이 아니다. 폭정은 그만큼 교활하고 간교해야 유지해 갈 수 있는 것이다. 무오사화를 통해서 가장 득을 많이 본 인물은 얼핏 보면 유자광이겠지만, 그보다는 연산군 자신이 가장 큰 득을 보았을 것이다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19 | 해남 당현정(棠峴亭) | 관리자 | 2024.07.17 | 24 |
18 | 이심(李諶) | 관리자 | 2024.05.15 | 31 |
17 | 이병정 | 관리자 | 2024.02.10 | 27 |
16 | 소재집 제3권---〔池氏林亭燕集〕 | 관리자 | 2023.12.23 | 39 |
15 | 조선후기 무과급제자의 | 관리자 | 2023.12.21 | 29 |
» | 무오사화와 소릉복위문제 | 관리자 | 2023.11.21 | 3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