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azing HTML5 Audio Player, powered by http://amazingaudioplayer.com

 

先系 이야기
매화---조선전기
난초---조선후기
국화--外家
대나무---master
my story and that or what not

A!~~~MAEJOUNG!------참의공파 先系 이야기(한진휘 論)

남원.안산.공주 문중3

관리자 2025.03.23 20:48 조회 수 : 29

韓德弼(한덕필)1696년 숙종 22년 1월 20일丙子生~ 1771년 영조47년 辛卯卒 父親韓祉 配:連山徐氏사이에 張子로 태어나다. 성주 지역에 부임한 지 얼마 안 된 현감 한덕필(韓德弼)이 마을에 비를 내리게 하기 위해 목숨까지 바치는 정성을 보였다는 인물 행적담이다. 조선 영조 대왕 시절에 심한 가뭄이 와서 백성들의 고충이 컸다. 성주 지역에 부임한 지 얼마 안 된 현감 한덕필은 하늘에 대한 정성과 덕이 부족하다고 여겨 몸을 깨끗이 씻고 며칠 동안 기도를 올렸지만, 비가 오지 않았다. 한덕필은 관아의 뜰에 장작더미를 쌓게 하고는 그 위에 자리를 깔고 앉아 기도를 올렸다. 그 러나 역시 비는 오지 않았고, 결국 한덕필은 하인에게 장작더미에 불을 지피라고 명하였다. 하인이 망설이자 한덕필은 작두를 대령하여 불을 지피지 않으면 하 인의 목을 자르겠다고 하였다. 결국 하인이 장작더미에 불을 지폈는데, 갑자기 하늘에서 비가 내려 장작불도 꺼지고 한덕필도 살게 되었다. 「청백리 한덕필 이야기」의 주요 모티프는 ‘한덕필’, ‘비’, ‘장작불’ 등이다. 현감 한덕필은 마을에 비가 내리지 않는 것이 하늘에 대한 정성과 덕이 부 족하기 때문이라 여겼고, 자신을 장작불에 태워 비를 기원하는 정성을 보이자 하늘에서 갑자기 비가 내렸다는 이야기이다. 한덕필은 청백리로 이름난 인물인데 「청백리 한덕필 이야기」에서는 애민(愛民) 사상이 잘 드러나 있다. 전승 집단은 「청백리 한덕필 이야기」를 통해 백성을 위해 자신을 버리는 살신성인의 자 세로 하늘을 감동시킨 한덕필의 공덕을 기림과 동시에, 목민관(牧民官)의 올바른 자세를 알리고 있다. 「청백리 한덕필 이야기」 [淸白吏韓德弼-] (한국향토문화 전자대전) 1805년 순조 5년 12월 24일. 영조23년 청백리로 천거되어 윤허를 받았던 사람을 영조대의 청백리로 선정 하였다. 



creat date 1996year~ south castle. All rights reserved.
record, paintings, images, and graphics and sound,or etc
maejoung spire happ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