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先祖實錄----仁粹大妃]
(성종 10年, 己亥 年, 明성화<成化>15年)
*/물목이 대서계와 소서계가 다름을 의논하다/
傳曰(전왈) : 전교하기를,
進獻大書契物目數少(진헌대서계물목수소) : “진헌(進獻)하는 대서계 물목(大書契物目)은 수(數)가 적고
小書契物目數多(소서계물목수다) : 소서계 물목은 수가 많으니,
若皇帝(약황제) : 황제가
知而問之(지이문지) : 알고 물으면
何以處之(하이처지) :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更議以啓(갱의이계) : 다시 의논하여 아뢰라.”하였다.
鄭昌孫(정창손) : 정창손(鄭昌孫)·
韓明澮(한명회) : 한명회(韓明澮)·
尹弼商(윤필상) : 윤필상(尹弼商)·
洪應議(홍응의) : 홍응(洪應)은 의논하기를,
韓氏處小書契付物目(한씨처소서계부물목) : “한씨(韓氏) 처소의 소서계(小書契)에 붙은 물목이
雖多於大書契(수다어대서계) : 비록 대서계보다 많기는 하나,
然皆細?之物(연개세쇄지물) : 모두 자질구레한 물건이므로
無嫌也(무혐야) : 혐의가 없습니다.”하고,
沈澮(심회) : 심회(沈澮)·
尹士昕議(윤사흔의) : 윤사흔(尹士昕)은 의논하기를,
小書契付不緊物件(소서계부불긴물건) : “소서계에 붙은 긴요하지 아니한 물건은
量減何如(량감하여) : 줄이는 것이 어떠합니까?”하니,
傳曰(전왈) : 전교하기를,
小書契物數(소서계물수) : “소서계 물건 수를
一如大書契(일여대서계) : 대서계와 일체로 같이하고
餘數(여수) : 나머지 수는
書于別幅齎去(서우별폭재거) : 별폭(別幅)에 적어 가지고 가서,
若韓氏以爲少也(약한씨이위소야) : 만약 한씨가 적다고 하거든
進別幅何如(진별폭하여) : 별폭을 올리는 것이 어떻겠는가?”하니,
承旨金升卿(승지김승경) : 승지(承旨) 김승경(金升卿)과
蔡壽啓曰(채수계왈) : 채수(蔡壽)가 아뢰기를,
大小書契議者云(대소서계의자운) : “대소 서계(大小書契)에 대하여 의논하는 자가 이르기를,
若不從鄭同言(약불종정동언) : ‘만약 정동(鄭同)의 말을 따르지 아니하고
只用一書契(지용일서계) : 한 서계에 써서
呈韓氏(정한씨) : 한씨에게 올리면,
則鄭同必怒違己意(즉정동필노위기의) : 정동이 반드시 자기의 뜻을 어긴 것을 노여워하고
訴于皇帝(소우황제) : 황제에게 호소하여
或特遣使臣(혹특견사신) : 혹은 특별히 사신을 보내거나
或多定物數(혹다정물수) : 혹은 물건의 수를 많이 정하면
則其弊尤甚(즉기폐우심) : 그 폐단이 더욱 심할 것이니,
不如從權(불여종권) : 권도(權道)에 따라
作大小書契(작대소서계) : 대소 서계를 만드는 것만 같지 못하다.’ 하나,
臣等以爲(신등이위) : 신 등은 생각하기를,
若從鄭同言(약종정동언) : 만약 정동의 말을 따라서
修大小書契(수대소서계) : 대소 서계를 만들면
凡與韓氏及鄭同妬寵者(범여한씨급정동투총자) : 무릇 한씨 및 정동과 더불어 사랑을 투기하는 자가
訴皇帝云(소황제운) : 황제에게 호소하기를,
朝鮮(조선) : ‘조선에서
從鄭同指使(종정동지사) : 정동의 지시에 따라
修大小書契(수대소서계) : 대소 서계를 만들어
以欺皇帝(이기황제) : 황제를 속인다.’ 하여
則皇帝必怒(즉황제필노) : 황제가 반드시 노여워해서
降勅責之(강즉책지) : 칙서(勅書)를 내려 꾸짖을 것이니,
當此時(당차시) : 이때를 당하면
悔之何及(회지하급) : 후회한들 어찌 미치겠습니까?
凡爲國家事(범위국가사) : 무릇 국가를 위하는 일은
視邪正與利害而已(시사정여리해이이) : 사정(邪正)과 이해(利害)를 보아서 할 뿐인데,
此事非徒不正(차사비도부정) : 이 일은 바르지 못할 뿐만 아니라
恐終無利也(공종무리야) : 마침내 이(利)도 없을 듯합니다.
誣上行詐(무상행사) : 위를 속이고 간사함을 행함은
非事君之道(비사군지도) : 임금을 섬기는 도리가 아닙니다.
今從小竪依阿?寵之計(금종소수의아호총지계) : 이제 작은 환자(宦者)의 말에 따라 아부하여 은총을 받
으려는 계책은
欺同皇帝(기동황제) : 황제를 속이는 것과 같으니,
其爲誣詐莫甚(기위무사막심) : 속이고 간사함이 더할 수 없이 심합니다.
臣等謂(신등위) : 신 등은 생각하건대
除大小書契(제대소서계) : 대소 서계를 없애고
只用一書契(지용일서계) : 한 서계만 써서
多其物數(다기물수) : 그 물건의 수를 많이 하여
以進于韓氏(이진우한씨) : 한씨에게 올리면,
則皇帝(즉황제) : 황제가
雖盡用其物(수진용기물) : 비록 그 물건을 다 쓰더라도
我之輸誠韓氏(아지수성한씨) : 우리가 한씨에게 정성을 바친 것은
固無損矣(고무손의) : 진실로 손상이 없을 것입니다.”하자,
傳曰(전왈) : 전교하기를,
如前傳敎施行可也(여전전교시행가야) : “전의 전교와 같이 시행하는 것이 좋다.”하였다.
其書契曰(기서계왈) : 그 서계(書契)에 이르기를,
姪女懷簡王妃韓氏(질녀회간왕비한씨) : “질녀(姪女) 회간 왕비(懷簡王妃)* 한씨(韓氏)는
奉復尊姑韓氏侍下(봉부존고한씨시하) : 존고(尊姑)* 한씨 시하(侍下)에게 받들어 올립니다.
去冬韓致亨(거동한치형) : 지난 겨울에 한치형(韓致亨)이
回自京師(회자경사) : 북경[京師]에서 돌아왔는데,
欽聞皇帝陛下(흠문황제폐하) : 공경히 듣건대 황제 폐하께서
茂膺景福(무응경복) : 큰 복을 누리신다고 하며
從審尊姑(종심존고) : 따라서 존고께서도
寵承皇恩(총승황은) : 황은(皇恩)을 입어
十分康寧(십분강녕) : 십분 강녕하시다고 하니,
不勝喜?(불승희환) : 기쁨을 이기지 못하겠습니다.
姪女與大小親戚(질녀여대소친척) : 질녀는 대소 친척이
平安過活(평안과활) : 평안하게 지내니
都是恩眷所及(도시은권소급) : 모두 은혜와 돌보심이 미친 바입니다.
伏惟尊鑑(복유존감) : 높이 살피시기를 엎드려 바랍니다.
內中所惠(내중소혜) : 궁내[內中]에서 보내 주신
多般珍?(다반진황) : 많은 진귀한 물건은
與各祗受(여각지수) : 각각 공경히 받으니
感戴罔極(감대망극) : 감격함이 망극합니다.
但本國西界凋殘(단본국서계조잔) : 다만 본국은 서계(西界)*가 조잔(彫殘)하여
艱於遠輸(간어원수) : 멀리 수송하기가 어려우므로
凡干土宜(범간토의) : 약간의 토산물을 삼가 갖추어서
謹備略禮(근비략례) : 약례(略禮)로
具錄別幅(구록별폭) : 별폭(別幅)에 갖추 기록하오니
伏乞恕鑑(복걸서감) : 용서해 살피시기를 삼가 빌며,
仍祝聖壽無疆(잉축성수무강) : 인하여 성수 무강(聖壽無彊)을 축수하고
兼冀尊姑(겸기존고) : 겸하여 존고(尊姑)께서
永享多福(영향다복) : 길이길이 많은 복을 누리시기를 바랍니다.
謹此拜復(근차배부) : 삼가 이것으로 절하고 올립니다.”하였다.
別幅(별폭) : 별폭(別幅).
紫綿紬三匹(자면주삼필) : 자면주(紫綿紬) 3필,
綠?紬參匹(록면주참필) : 녹면주(綠綿紬) 3필,
柳靑綿紬三匹(류청면주삼필) : 유청 면주(柳靑綿紬) 3필,
綠綿布三匹(록면포삼필) : 녹면포(綠綿布) 3필,
水綠綿布一十匹(수록면포일십필) : 수록 면포(水綠綿布) 10필,
塔士麻二十斤(탑사마이십근) : 탑사마(塔士麻) 20근(斤),
昆布五十斤(곤포오십근) : 곤포(昆布) 50근,
海衣一十斤(해의일십근) : 해의(海衣) 10근,
鹿中脯五十箇(록중포오십개) : 녹중포(鹿中脯) 50개(箇),
鹿片脯五十箇(록편포오십개) : 녹편포(鹿片脯) 50개,
早藿五十斤(조곽오십근) : 조곽(早藿) 50근,
香?一十斤(향점일십근) : 향점(香?) 10근,
石首魚卵?一?(석수어란자일담) : 석수어란자(石首魚卵?) 1담(?),
銀口魚?一?(은구어자일담) : 은구어자(銀口魚?) 1담,
中樣三事刀子五十把(중양삼사도자오십파) : 중양 삼사 도자(中樣三事刀子) 50파(把),
小樣三事刀子五十把(소양삼사도자오십파) : 소양 삼사 도자(小樣?祀刀子) 50파,
細竹扇五十把(세죽선오십파) : 세죽선(細竹扇) 50파,
小竹扇五十把(소죽선오십파) : 소죽선(小竹扇) 50파,
繡囊兒一十流(수낭아일십류) : 수랑아(繡囊兒) 10류(流),
獐牙兒一十流(장아아일십류) : 장아아(獐牙兒) 10류,
針家兒一十流(침가아일십류) : 침가아(針家兒) 10류,
虎牙兒十六(호아아십륙) : 호아아(虎牙兒) 16,
葫蘆兒一十六(호로아일십륙) : 호로아(葫蘆兒) 16,
靑苽兒一十六(청고아일십륙) : 청고아(靑苽兒) 16,
細巧紬文蛤五十流(세교주문합오십류) : 세교주문합(細巧紬文蛤) 50류,
黑麻布一百一十匹(흑마포일백일십필) : 흑마포(黑麻布) 1백 10필.
別幅紫綿紬三匹(별폭자면주삼필) : 별폭. 자면주(紫綿紬) 3필,
綠綿紬三匹(록면주삼필) : 녹면주 3필,
靑綿紬三匹(청면주삼필) : 청면주 3필,
草綠綿紬三匹(초록면주삼필) : 초록 면주 3필,
白苧布五匹(백저포오필) : 백저포(白苧布) 5필,
水綠綿布一十匹(수록면포일십필) : 수록 면포(水綠綿布) 10필,
塔士麻二十斤(탑사마이십근) : 탑사마(塔士麻) 20근,
海衣一十斤(해의일십근) : 해의(海衣) 10근,
昆布五十斤(곤포오십근) : 곤포(昆布) 50근,
鹿中脯五十箇(록중포오십개) : 녹중포(鹿中脯) 50개,
鹿片脯五十箇(록편포오십개) : 녹편포 50개,
早藿五十斤(조곽오십근) : 조곽(早藿) 50근,
香?一十斤(향점일십근) : 향점(香?) 10근,
紅蛤?一?(홍합자일담) : 홍합자(紅蛤?) 1담(?),
白蝦?一?(백하자일담) : 백하자(白蝦?)* 1담,
中樣三事刀子五十把(중양삼사도자오십파) : 중양 삼사 도자(中樣三事刀子) 50파,
小樣三事刀子五十把(소양삼사도자오십파) : 소양 삼사 도자 50파,
細竹扇五十把(세죽선오십파) : 세죽선(細竹扇) 50파,
小竹扇五十把(소죽선오십파) : 소죽선 50파,
繡囊兒一十流(수낭아일십류) : 수랑아(繡囊兒) 10류(流),
獐牙兒一十流(장아아일십류) : 장아아(獐牙兒) 10류,
針家兒一十流(침가아일십류) : 침가아(針家兒) 10류,
虎牙兒一十流(호아아일십류) : 호아아(虎牙兒) 10류,
葫蘆兒一十流(호로아일십류) : 호로아(葫蘆兒) 10류,
靑苽兒一十流(청고아일십류) : 청고아(靑苽兒) 10류,
班蛤五十流(반합오십류) : 반합(班蛤) 50류.
別幅(별폭) : 별폭.
紫綿紬二匹(자면주이필) : 자면주 2필,
綠綿紬二匹(록면주이필) : 녹면주 2필,
靑綿紬二匹(청면주이필) : 청면주 2필,
草綠綿紬二匹(초록면주이필) : 초록 면주 2필,
兼織布三匹(겸직포삼필) : 겸직포(兼織布) 3필,
香?一十斤(향점일십근) : 향점 10근,
塔士麻一十斤(탑사마일십근) : 탑사마 10근,
小樣三事刀子五十把(소양삼사도자오십파) : 소양 삼사 도자 50파,
回蛤五十流(회합오십류) : 회합(回蛤) 50류,
黑麻布五匹(흑마포오필) : 흑마포 5필.
*외교-명(明)/ *무역(貿易)
-회간 왕비(懷簡王妃): 덕종비.소혜왕후.인수대비.
-존고(尊姑) : 고모님.
-서계(西界) : 평안도.
-백하자(白蝦?) : 새우젓.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17 | (한 결의 장인 朴 而溫) | 관리자 | 2023.10.02 | 23 |
» | [先祖實錄----仁粹大妃] | 관리자 | 2023.10.02 | 22 |
15 | 강화부사 한충순 | 관리자 | 2023.10.02 | 28 |
14 | 한충순----왕족실록2 | 관리자 | 2023.10.02 | 27 |
13 | 15세 한결선조님 사위 곽안방의 아버지 | 관리자 | 2023.10.02 | 26 |
12 | 무오사화에 한충인 | 관리자 | 2023.10.02 | 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