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우연히 시냇가에 갔다가 해당화 한 그루가 아름답게 피어있는 것을 보고는 소동파(蘇東坡)가 정혜원
(定惠院)에서 해당화를 읊었던 일이 생각나 드디어 그 운(韻)을 차하다
-다산 정약용
늪지대가 비습하고 몹쓸 나무만 많이 있어 / 澤障地卑多惡木
묵은 길을 거닐자면 외로움을 느끼는데 / 荒徑徘徊念幽獨
이리 이빨 용 발톱이 잡다한 그 한 쪽에 / 狼齒龍爪雜沓邊
한 그루 해당화 향기가 독특하네 / 一樹玫瑰香絶俗
장사치들 저자에 가 어깨 맞대고 야단인데 / 屠沽側肩爭市門
아리따운 옥인은 빈 골짝에 있네그려 / 玉人嬋媛在空谷
진주 파는 가게에는 고기눈깔 원래 많은 법 / 由來魚目滿珠肆
미인을 황금옥에 누가 들게 할 것인가 / 誰遣蛾眉入金屋
서울 사람 기르는 꽃들 도리가 고작인데 / 京城養花皆桃李
썩은 쥐로 배 채우고 고기 먹었다 자랑이지 / 腐鼠充膓誇嗜肉
《여씨춘추(呂氏春秋)》에서 나온 말임.
매괴를 잘못 알고 해당이라 부르다니 / 錯把玫瑰呼海棠
능석이 까닭없이 오족이 된 셈이지 / 陵舃無端爲烏足
우리 나라에서는 매괴를 해당화라 부름. 오족(烏足)은 《장자(莊子)》에 있는 말임.
화사의 글자 하나 보지도 않고서 / 花史曾無一字窺
더러운 마음으로 깨끗함을 더럽혀서야 / 滓穢生心汚淸淑
예로부터 성현들도 말 많은 것 미워한 것은 / 自古賢聖憎多口
괴롭게도 엉뚱한 헐뜯음을 당했기 때문이야 / 苦遭讒人入左腹
취약한 게 꽃술인데 너만은 꼿꼿하여 / 花心脆弱汝獨貞
굳은 절개 맑은 기상 대나무같이 늠름하고 / 脩節淸標凜如竹
붉은 수염 푸른 가시가 네 몸을 보호하니 / 紅芒綠刺謹防身
나비 벌이 제 감히 눈독을 들일쏜가 / 紫蝶黃蜂敢注目
언제나 두려운 건 놔주지 않을 도끼이지 / 常恐斤斧不相赦
험난한 세상길이 민산 촉도 같으니까 / 世路崎險如岷蜀
야 장하다 고운 바탕에 특이한 향기 갖고 / 吁嗟麗質秉奇芬
잡초 속에서 끝까지 딱 버티고 서있는 너 / 叢矢終然集一鵠
산을 메운 나무꾼들 너를 어찌 알까보냐 / 樵蘇滿山豈識汝
구부러지고 냄새나는 가죽나무나 좋아하지 / 去羨臭樗枝拳曲
꽃 앞에 홀로 서서 꽃과 얘기 나누다보니 / 獨立花前與花語
쓸쓸한 둘의 뜻이 서로 느껴지는 것만 같아 / 兩意凄然相感觸
황주 목사(黃州牧使)가 기생 두 명을 데려오다 목사는 박동량 열지(朴東亮說之)인데, 동방(同榜)으로 장
원(壯元)이다.-교산 허균
해당화 갓 잠들어 술이 한창 얼근한데 / 海棠初睡酒方酣
잎새마다 비단치마 푸른 안개 물들었네 / 葉葉羅裙染翠嵐
떠나려는 사람이 떠나자도 못 떠나니 / 正是離人歸不得
여보 그대 망강남 다시금 불러다오 / 請君重唱望江南
장미꽃 비 어울려 부슬부슬 떨어지고 / 玟瑰和雨落
한낮이라 가벼운 바람 엷은 옷 뚫고 들어 / 日午輕颸透薄衫
한 가락 비파 타니 잠든 제비 놀라라 / 寶瑟一彈驚睡燕
주렴의 높은 곳에 날아 앉아 지저귀네 / 綉簾高處語呢喃
[주-D001] 망강남(望江南) : 사조(詞調)의 이름. 수 양제(隋煬帝)가 서원(西苑)을 만들고, 연못을 파서 거
기에 용봉가(龍鳳舸)를 띄우고서 망강남곡(望江南曲)을 지었다고 한다.
중후소 점사(中後所店舍)에서 해당화(海棠花)를 보고 -이덕무
문창각에 한낮이 되자 다투어 향피우니 / 文昌閣午競燒香
쑥잎으로 비녀를 만들어 꽂은 대족랑일레라 / 艾葉裝 大足娘
지친 나그네 집생각 꿈에서 깨어나니 / 倦客思歸殘夢醒
해당화가 벌겋게 피어 단오를 알려 주네 / 海棠花對作端陽
춘장(春粧)’ -기생 취선(翠仙)
봄 단장 서둘러 끝내고 거문고에 기대니 / 春粧催罷倚焦桐
주렴에 붉은 햇살 가벼이 차오르네 / 珠箔輕盈日上紅
밤안개 짙은 끝에 아침 이슬 흠뻑 내려 / 香霧夜多朝露重
동쪽 담장 아래 해당화가 눈물 흘리네 / 海棠花泣小墻東
고려(高麗)의 중 선탄(禪坦)의 시에, -청장관전서
명사십리에는 해당화 붉은데 / 明沙十里海棠紅
흰 갈매기 쌍쌍이 성긴 빗속을 나네 / 白鷗兩兩飛疏雨
역로의 해당화 -추강 남효온
울긋불긋 역참 길에 해당화 피었으니 / 丹靑驛路海棠開
가랑비 비낀 바람에 말 내려 구경하네 / 細雨斜風下馬看
주인 없이 늙어가는 붉은 들꽃 애석하여 / 愛惜野紅無主老
나그네가 꺾어다가 말안장에 꽂아보네 / 征衫垂折揷征鞍
해당화가 떨어진 지 한 달이 지나 갑자기 한 송이가 피었기에 시를 지어 기이함을 기록하다〔海棠落過
一月忽發一朶作詩記異〕 -동주 이민구
올해는 무더위가 하순까지 이어지고 / 今年徂暑涉終旬
초목의 무성한 꽃들 고요히 자취 감췄는데 / 草木繁華靜四隣
문득 보니 빨갛게 한 송이 피어 / 忽見嬌紅開一朶
정원에서 남은 봄빛을 펼치네 / 欲從庭院殿餘春
옥당의 해당화〔玉堂海棠花〕 -백담 구봉령
한 송이 번화한 꽃 옛 담장에 빛나니 / 一朶繁英耀古垣
올해의 경치 담론할 만하다네 / 今年物色可堪論
누각에 비 내리는데 자면은 그윽한 한을 머금어 / 紫綿閣雨含幽恨
조정 신하 피눈물 흔적으로 다 물들였네 / 儘染廷臣血淚痕
[주-D001] 자면(紫綿) : 해당화의 별칭이다.
해당 동쪽에 야당화가 성대하다〔海棠之東 野棠花比盛〕 -목재 홍여하
붉게 핀 봄꽃 옆에 흰 눈이 쌓였고 / 紅玉春邊白雪堆
야당화가 또 해당화 곁에 피었네 / 野棠還傍海棠開
지팡이 짚고 우중에 찾기 가장 좋고 / 最宜扶杖雨中過
술 들고 달 아래 오기 더욱 마땅하네 / 更合携罇月下來
해당화〔詠海棠花〕 -무명자 윤기
붉은 꽃부리 사이로 푸른 잎새 / 紅英間綠葉
봄볕에 절로 빛이 싱그럽네 / 春日自生光
하지만 나비가 찾아오는 걸 싫어해 / 却嫌蝴蝶到
백화의 향기 뿜는 걸 부끄러워하네 / 羞作百花香
한가해서 붓으로 끼적대다〔閑中墨戱〕 -병산 이관명
뉘엿뉘엿 석양빛이 텅 빈 난간에 드는데 / 依依返照入虗欞
향이 다 탄 화로에 불씨만 빛나누나 / 香盡金爐爝火熒
꽃 지고 새 우는 봄날이 적적해서 / 花落鳥啼春寂寂
해당화 그늘에서 난정첩을 베낀다오 / 海棠陰畔寫蘭亭
집으로 돌아와 감흥을 읊다〔四月晦還故園寓興〕 -송암 권호문
해마다 꽃 필 때에 집에 있지 못했는데 / 歲歲花時不在家
올해 봄도 반쯤을 문화산에서 보냈네 / 今春一半又文華
봄 보내며 고향 물색 눈여겨 살펴보고 / 眼看故巷經春物
거친 채마 밭 손수 매만져 늦게 오이를 심었네 / 手理荒園種晩瓜
연잎은 푸른 동전처럼 수면에 첩첩 뜨고 / 荷疊靑錢池面葉
버들 꽃은 흰 담요처럼 언덕에 깔렸네 / 楊鋪白毯岸頭花
해당화 아래로 평상 옮겨 오래 앉았다가 / 移床久坐海棠下
외상술을 마시러 앞마을로 달려가네 / 促向前村呼酒賖
해당(海棠) -옥담 이응희
봄이 저물 제 방초를 찾아가니 / 春暮尋芳卉
시냇가에 해당화가 가득하여라 / 溪邊滿海棠
붉은 비단이 새벽비에 젖은 듯 / 紫錦霑曉雨
붉은 꽃잎이 아침 햇살에 비친다 / 紅肉映朝陽
공부는 이 꽃을 읊기 어려웠고 / 工部吟難着
파선은 이 꽃을 상세히 읊었지 / 坡仙詠盡詳
가시가 있다 싫어하지 말라 / 莫嫌芒刺在
노니는 이가 꺾어도 다치지 않네 / 遊客折無傷
해당화를 노래하다〔詠海棠〕 -용주 조경
봄꽃은 주명이 있는 줄도 모르고 / 春花不識有朱明
너도나도 동군을 따르며 생사를 맡기네 / 爭逐東君託死生
한 송이 해당화만 이 날에 피어 / 獨也海棠開是日
숲의 나무들과 함께 무성하네 / 與之林木共爲榮
향기 머금은 연한 초록 잎은 돌아온 나비인 양 / 香含軟綠疑歸蝶
이슬 맺힌 고운 붉은 꽃은 취한 성성이 벗긴 듯 / 露浥嬌紅剝醉猩
저절로 초당의 모습 아름답게 만드니 / 坐使草堂顏色好
매화나 버드나무에 비하면 더욱 다정하네 / 比於梅柳更多情
[주-D001] 주명(朱明) : 전설상의 화신(火神) 축융(祝融)을 가리킨다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 | 우연히 시냇가에 갔다가 해당화 한 그루가 | 관리자 | 2023.10.04 | 38 |
6 | 늦봄〔暮春〕 -지봉 이수광 | 관리자 | 2023.10.04 | 32 |
5 | 김자고(金子固)가 부친 시에 차운하다 3수 -서거정 | 관리자 | 2023.10.04 | 32 |
4 | 해당(海棠) -서거정 | 관리자 | 2023.10.04 | 36 |
3 | 정원의 해당화(海棠花)가 성하게 피었으므로 | 관리자 | 2023.10.04 | 20 |
2 | 송 안변부사 박시행 부임(送安邊府使朴始行赴任) -홍귀달(洪貴達) | 관리자 | 2023.10.04 | 25 |